“한 달에 1억 벌고도 한 푼 못 가졌다” 억대 수입 다 날린 아버지에 평생 시달린 방송인

한때 “여성 코미디언의 전설”이라 불리던 이경애. 하지만 화려한 무대 뒤에는 감히 상상도 못할 고통이 숨어 있었습니다. 1984년 KBS 개그콘테스트로 데뷔하자마자 상을 휩쓸며 스타덤에 올랐지만, 그녀에게 웃음은 생존의 도구일 뿐이었습니다.

이경애의 어린 시절은 참혹했습니다. 아버지가 노름에 빠져 집과 차, 통장까지 모두 날려버렸고, 어머니는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했습니다. 겨우 12살이던 이경애는 산에서 어머니를 붙잡으며 오열했고, 그 후에도 네 번이나 같은 장면을 마주해야 했습니다. 결국 중학생 때부터 돈을 벌어야 했고, “시체 닦는 일이라도 하겠다”고 결심할 만큼 삶은 절박했습니다.

그녀는 1980년대에 한 달 수입이 1억 원에 달할 정도로 잘나갔습니다. 하지만 수입은 모두 매니저를 맡은 아버지 손에 들어갔고, 그는 그 돈으로 주식을 하다 전부 잃었습니다. 이경애는 “내가 돈 버는 기계였다”고 고백했습니다. 열이 펄펄 끓어 정신이 혼미해져도 무대에 올라야 했고, 단 한 번도 자신이 번 돈을 직접 만져보지 못했습니다.

 

가장 참담했던 건, 그 모든 고통의 이유가 가족 때문이라는 사실이었습니다. 아버지를 매니저로 쓰지 않으면 어머니를 괴롭히겠다고 협박했고, 결국 그녀는 악순환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부모님의 병환이 겹쳐 일주일에 870만 원에 달하는 병원비를 대느라 집까지 팔아야 했습니다.

그렇게 몸이 부서지도록 일했지만, 부모님은 결국 열흘 차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때가 마흔 직전이었다”던 이경애는 정신과 치료를 받아야 할 만큼 무너졌습니다. 그제야 자신의 이름으로 된 통장을 손에 쥘 수 있었다고 합니다.

두 번째 결혼에서 어렵게 딸을 얻고 행복해지는 듯했지만, 남편이 간 이식 이후 건강이 악화돼 13년간 투병 생활이 이어졌습니다. 시어머니가 세상을 떠나자 남편은 급격히 악화됐고, 결국 만성 신부전증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이경애는 “나는 내 인생 전부를 가족에게 바쳤다. 그래서 딸에게 짐이 될까 두렵다”며 딸이 6살 때부터 독립을 준비시키고 있다고 고백했습니다. 혹시 지금도 “연예인은 다 잘 살 거라” 믿으시나요? 이경애의 삶은 우리에게 말합니다. “겉으로 보이는 것만이 전부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