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포기 김장에 군대 같은 결혼 생활” 전성기 버리고 결혼했지만 시집살이 시달린 여배우

혹시 배우 김창숙을 기억하시나요? 한때 ‘김혜수 닮은 미모’로 스크린을 사로잡았던 그는 1968년 TBC 5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해 드라마와 영화를 오가며 눈부신 활약을 펼쳤습니다. 1973년 임권택 감독의 영화 ‘증언’으로 여우주연상을 거머쥔 뒤에도 ‘여자태권군영회’, ‘증언’ 등 주연작을 연이어 선보이며 단숨에 주목받는 스타로 자리매김했죠.

하지만 전성기가 절정에 이른 1977년, 그는 과감히 배우 생활을 멈추고 결혼을 선택했습니다. 친구 오빠의 친구였던 남편은 유학생 출신으로, 젠틀한 매너와 지적인 분위기로 그의 마음을 사로잡았습니다. 그러나 행복할 줄만 알았던 결혼엔 반전이 숨어 있었죠. 남편이 실제 나이를 속였다는 사실을 결혼 후에야 알게 된 겁니다. 주민등록증에서 낌새를 챈 그는 결국 시어머니에게 진실을 듣고 큰 충격을 받았다고 고백했습니다.

그의 시련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결혼과 동시에 시작된 혹독한 시집살이가 그의 일상을 완전히 바꿔놨습니다. 새벽 5시 반에 일어나 시어머니를 위한 7첩 반상 아침상을 차리고, 배드민턴을 치고 돌아오는 시어머니 옆에 꼭 붙어 TV를 봐야 했습니다. 심지어 김장은 기본이 100~200포기였고, 어마어마한 양의 호두까지 손질해야 했죠. 김창숙은 그 시절을 “군대 생활 같았다”고 회상했습니다.

 

결혼 전까진 누구보다 화려한 배우였지만, 결혼 후에는 매일 시어머니의 생활 패턴에 맞춰 숨죽여 살았습니다. 하지만 그는 좌절에 머물지 않았습니다. 3년간의 혹독한 시집살이 속에서도 꿋꿋하게 자신을 다잡았고, 1982년 드라마 ‘행복의 계단’으로 다시 대중 앞에 섰습니다. 그가 보여준 복귀는 단순한 연기가 아니라, 결혼과 시련을 넘어선 진정한 자립의 상징이었습니다.

이 이야기를 접한 누리꾼들은 “그 시절이라 더 힘드셨을 거예요”, “정말 맷집이 대단하십니다”, “이제라도 행복하시길”이라며 따뜻한 위로를 보냈습니다. 혹시 오늘 당신도 누군가의 기대에 맞춰 살고 있나요? 김창숙의 인생을 통해,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마음이 결국 당신을 다시 일으킨다는 걸 기억해보세요.